728x90
서론
생각보다 많은 회사에서 관리하고 있는 On-Premise, Cloud 환경에서의 서버(인스턴스 및 Native 등)에 대한 정보를 도식화하여 관리하고 있지 않다.
엑셀로 정리하는 것을 넘어, 도식화를 통해 서버 및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의존 관계를 확인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환경으로 개선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서버 분류 체계
서버 분류 체계는 서버의 목적, 성능,
물리적 구성, 운영 체제, 서비스 제공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1. 목적에 따른 분류
- 웹 서버(Web Server):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HTTP/HTTPS 요청을 처리하는 서버. 예: Apache, Nginx.
- 데이터베이스 서버(Database Server):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을 통해 데이터 저장 및 조회를 처리하는 서버. 예: MySQL, PostgreSQL.
- 파일 서버(File Server): 파일 저장 및 관리를 제공하는 서버.
- 애플리케이션 서버(Application Server):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실행하는 서버. 웹 서버와 데이터베이스 서버 사이에서 동작함. 예: Tomcat, WebSphere.
- 메일 서버(Mail Server): 이메일 송수신을 처리하는 서버. 예: Microsoft Exchange, Sendmail.
- 프록시 서버(Proxy Server): 클라이언트 요청을 중계하는 서버로, 보안, 캐싱, 콘텐츠 필터링 등을 제공. 예: Squid, HAProxy.
2. 성능 및 규모에 따른 분류
- 작은 서버(Small Server): 소규모 업무 및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버. 개인, 소규모 비즈니스에서 사용.
- 중간 서버(Midrange Server): 중간 규모의 업무와 트래픽을 처리하는 서버.
- 큰 서버(Large Server): 대규모 트래픽과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고성능 서버. 대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
3. 물리적 구성에 따른 분류
- 물리 서버(Physical Server): 실제 하드웨어로 구성된 서버.
- 가상 서버(Virtual Server): 물리 서버에서 여러 개의 가상 환경을 만들어 운영하는 서버. 예: VMware, Hyper-V.
-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제공되는 서버. 예: AWS EC2, Google Cloud Compute Engine.
4. 운영 체제에 따른 분류
-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 Microsoft Windows Server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서버.
- 리눅스 서버(Linux Server): 다양한 리눅스 배포판을 사용하는 서버. 예: Ubuntu, CentOS.
- 유닉스 서버(Unix Server): Unix 운영 체제를 사용하는 서버. 예: AIX, Solaris.
5.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른 분류
- 온프레미스 서버(On-Premises Server): 기업 내부에서 직접 관리하는 서버.
-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관리하는 서버.
- 하이브리드 서버(Hybrid Server):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서버.
6. 특수 목적에 따른 분류
- 스토리지 서버(Storage Server):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관리를 위한 서버.
- 게임 서버(Game Server): 온라인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 DNS 서버(DNS Server): 도메인 이름 시스템(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서버 구성도 정리 기준
- 이번 글에서는 서버에 대한 자세한 개념보다 조직에서 운영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및 On-Premise, Cloud 등 보유하고 있는 자산 관리에 집중한다.
- 물리적 구성에 따른 분류, 서비스 제공 방식에 따른 분류, 특수 목적에 따른 분류를 차용하였다.
- 물리적 구성 : Cloud, On-premise 내 Native, Process 구성 요소
- 서비스 제공 방식 : Cloud, On-premise 주체 및 운영 현황 요소
- 특수 목적 : 호스팅 서버의 CDN, DNS 관리 요소
확인하면 편한 정보
- 인스턴스 활용 정도
- 인스턴스명, ssh 접근 포트, 설명
- 외부/내부 IP, 운영체제 버전
- 동작 서버 Process, Port
- 서버 연결 정도
- 인스턴스 간 의존상태 파악 용도
- 백엔드 - 프론트엔드 - DB 등
- 방화벽 구성 현황
- 외부에서 접속 가능한 Port 확인 용도
- 도메인 연결 현황
- 서비스를 도메인으로 운영하면서 사용되는 DNS 정보 현황
- 설정된 공인 아이피를 확인 후 80(HTTP), 443(HTTPS), MAIL, ... 등 실제 인프라 연동 확인 용도
결론
- 백사장에서 바늘 찾기는 어렵다.
- 바늘에 GPS를 달아버리자..!
728x90
반응형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클라우드 기반 SMTP 설정, 이메일 서비스 공급자란? (1) | 2024.11.08 |
---|---|
[AWS] 클라우드 공동 책임 모델 (0) | 2024.11.04 |
[법/규제] 금융분야 망분리 규제 개선 로드맵 - Cloud (2) | 2024.11.04 |
[IaC] 코드형 인프라, Infrastructure as Code 란 무엇인가? (2) | 2024.09.25 |
[GCP] Cloud Storage Cache 설정 (0) | 2024.07.29 |
[GCP] IAM 및 관리자, 역할 적용 불가 이슈, Cloud ID (0) | 2024.06.11 |
[Server] 클라우드별 서버 비용 단순 분석 (0) | 2024.05.14 |
[EC2] 인스턴스 유형 다운그레이드 (0) | 2023.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