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Pod
-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작은 배포 단위로,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한다.
kubectl get pods # 현재 모든 파드 목록 조회
kubectl describe pod <pod_name> # 특정 파드의 상세 정보 확인
kubectl delete pod <pod_name> # 특정 파드 삭제
kubectl logs <pod_name> # 파드의 로그 출력
2. Node
- Pod를 실행할 수 있는 물리적 또는 가상 머신이다.
kubectl get nodes # 현재 클러스터 내 노드 조회
kubectl describe node <node_name> # 특정 노드의 상세 정보 확인
kubectl cordon <node_name> # 노드 스케줄링 불가로 설정
kubectl uncordon <node_name> # 노드 스케줄링 가능으로 설정
3. Label
- Pod나 Node 등에 태그를 추가하여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된다.
kubectl label pod <pod_name> <key>=<value> # 특정 파드에 레이블 추가
kubectl get pods --selector <label_key>=<label_value> # 특정 레이블을 가진 파드 조회
4. Kubelet
- 각 워커 노드에서 파드를 관리하고, 컨테이너 실행을 담당하는 에이전트이다.
5. Etcd
- 클러스터 상태를 저장하는 분산 키-값 데이터베이스이다.
6. Replication Controller
- Pod의 복제본을 관리하고 원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
kubectl get rc # 현재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조회
kubectl scale rc <rc_name> --replicas=<number> # 파드 복제본 개수 변경
7. Scheduler
- Pod를 Worker Node에 배치하는 역할을 한다.
8. API Server
- 클러스터와의 모든 통신을 담당하는 컴포넌트로, kubectl 명령어를 통해 통신한다.
728x90
반응형
'Develop'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AI] 1.0.0 Migration 관련 Function 변경 (2) | 2024.11.05 |
---|---|
[Scraping] Colab Web Scraping 설정하기 (1) | 2024.10.28 |
[k8s] kubeadm 개념 및 명령어 정리 (0) | 2024.10.02 |
[k8s] 구성 요소별 관련 명령어 (3) | 2024.10.02 |
[Spring] IoC(Inversion of Control)와 DI(Dependency Injection) 이해하기 (0) | 2024.09.10 |
[Spring] Spring Bean 생명주기와 @Annotation 정리 (0) | 2024.09.10 |
[Flutter] Uri를 활용한 SMS 보내기 기능 구현 (0) | 2024.08.29 |
[SMTP] 수신 메일에서의 hover, onmouse 기능 미지원 이슈 (4) | 2024.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