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IOT6

[MVP] IoT 기기 활성화 여부 검증 서론 기존 시스템에 IoT 기기 활성화 여부를 검증하여 관리자 페이지에서 업체별 IoT 현황을 파악하려고 한다. RDBMS라는 제약 환경을 기준으로 효율적인 기기 활성화 여부를 검증하는 Logic을 개발해보자. 이론적 배경 연관된 데이터는 MySQL 등 RDBMS로 관리한다. 네트워크는 유선랜으로 상시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MQTT는 Timeout 발생 시 TCP 연결이 중도에 끊어질 수 있다. 기기 정보는 단순 활성화 여부 Boolean 값을 파악하는 것으로 한다. 가설 RDBMS에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기에는 트랜잭션, 운영 데이터를 고려하여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가정한다. MQTT를 발송하는 주체는 Backend 서버로 요청 전송, 필요 데이터 전송 등 Adapter 개념으로 접근한다. IoT에.. 2024. 4. 22.
MQTT(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 정의 서론 회사에 진행하고 있는 프로젝트에 IoT를 활용하여 하드웨어를 원격으로 제어 및 배포하는 신규 제품을 출시하려고 한다. 기존에 라즈베리파이, 아두이노 등 사물인터넷을 활용한 경험은 있지만, MQTT 등 IoT에 특화된 메세징 프로토콜을 연동하여 원격 제어하는 방식이 아닌 중계 서버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신규 프로젝트의 요구사항에 맞는 기능 중 MQTT을 활용한 메세징 방식으로 경량화된 패킷으로 IoT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론적 배경 MQTT는 머신 대 머신 통신에 사용되는 표준 기반 메시징 프로토콜 또는 규칙 세트입니다. 스마트 센서, 웨어러블 및 기타 사물 인터넷(IoT)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리소스 제약이 있는 네트워크를 통해 제한된 대역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2024. 4. 20.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