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SM엔터테인먼트 2024 사업보고서 분석

by 너드나무 2025. 5. 21.
반응형

✍️ 요약

  • 2024 매출: 9,897억 원 (+3.0%)
  • 영업이익: 873억 원 (-23.1%)
  • 영업이익률: 8.8% (2023년: 11.8%)
  • 지배순이익: 183억 원 (2023년: 873억 원)
  • 부채비율: 71.2% / 유동비율: 168.0%
  • 해외 매출 비중: 약 32.6%로 유지
  • 주요 외화 노출 통화: USD, JPY, CNY
  • 시장/환위험 관리 체계 강화

🔍 1. 실적 구조 상세 분석

🎶 매출 다변화 현황

구분 매출(억원) 비중(%) YoY 증감률
엔터 부문 9,036 91.3% +4.2%
광고 714 7.2% -7.2%
기타 147 1.5% -14.3%
 
  • 핵심 매출원인 엔터 부문
    • 제품(음반/굿즈), 용역(공연/아티스트 활동), 상품 등 전방위 성장.
  • 광고/기타 매출
    • 감소세. 브랜드 광고 캠페인 축소 및 단발성 프로젝트 종료 영향.
  • 해외 매출 비중
    • 약 32.6% 수준으로 꾸준함 (USD, JPY, CNY 중심).

🧠 2. 수익성과 비용 구조 분석

  • 영업이익 감소 원인:
    • 매출원가 +10.1% 증가 (인건비 및 외주비 상승)
    • 판관비 유지 (전년과 유사한 수준 유지)
  • 관계기업투자손실 23억 원
  • 이수만 前 총괄 프로듀서 퇴임 이후 발생한 일부 구조조정 및 정산 이슈 반영.

🛡️ 3. 재무위험 및 리스크 관리

✅ 외환위험 관리

  • 주요 외화 노출: USD, JPY, CNY
  • 외환 변동 10% 시 세전이익 영향:
    • USD ±5.3억 원
    • JPY ±1.2억 원
    • CNY ±0.7억 원
  • 외화자산 > 외화부채 구조 유지 중 (안정적)

✅ 가격위험

  • 보유 상장 지분에 따른 주가 리스크 노출 (기타포괄손익 반영)
  • 주가 5% 변동 시 자본 ±1.6억 원 영향 가능

✅ 이자율위험

  • 이자율 1%p 변동 시 세전이익 ±2.9억 원 영향

✅ 신용위험

  • 주요 신용 노출: 매출채권 1,580억 원
  • 총 손실충당금: 102억 원 (전년: 128억 원)
  • 정상 채권 비율 85.8%, 회수 가능성 양호

✅ 유동성위험

  • 유동부채 대비 유동자산 충분 확보
  • 유동비율: 168.0% (2023년: 165.3%)
  • 차입금 및 리스부채 현금흐름 관리 가능 수준

🧮 4. 자본 구조 분석

구분 2024년 2023년
부채총계 5,900억 6,316억
자본총계 8,291억 9,094억
부채비율 71.2% 69.5%
유동비율 168.0% 165.3%
  • 전반적으로 건실한 자본 구조 유지
  • 현금및현금성자산 보유액 3,583억 원
  • 재무레버리지 낮고, 부채 상환 능력 우수

💡 인사이트 요약

  • SM은 아티스트, 콘텐츠, 팬덤 플랫폼 등 다중 채널을 통해 매출 포트폴리오를 강화 중
  • 한한령, 글로벌 불확실성, 환율 리스크는 여전히 존재
  • 하지만 안정적 유동성, 우수한 회수율, 외환 관리 체계로 위기 대응 가능

🎯 결론: 콘텐츠/글로벌 플랫폼 기업으로 구조 전환 중인 SM, 외부 변수 대응과 수익성 개선이 향후 과제

 

💸 국내 상장사 기업분석과 인사이트는 👉 @insight.corporate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