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안랩 2024 사업보고서 분석

by 너드나무 2025. 5. 26.
반응형

 

2024년, 안랩은 백신 기반 보안 벤더를 넘어 ‘플랫폼 보안 기업’으로서 체질 개선을 가속화했습니다.

 

특히 XDR, OT 보안, 클라우드 보안

고도화된 위협에 대응하는 기술투자와 해외 시장 진출 가속화는 올해의 키워드로 요약됩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제품별 매출 구조뿐 아니라 재무제표 기반의 안정성·수익성 분석을 통해 종합적 인사이트를 제시합니다.


✅ 1. 실적 요약 및 사업구조 변화

구분 2024년 2023년 증감률
총매출액 2,605.7억 원 2,392.0억 원 +8.9%
영업이익 276.8억 원 264.2억 원 +4.8%
당기순이익 323.9억 원 347.0억 원 -6.6%
수출 매출 217.6억 원 78.4억 원 +177.5%
영업이익률 10.6% 11.0% 감소
R&D 투자 712.9억 원 652.8억 원 +9.2%
R&D 비중 27.4% 27.3% -
 

🔍 매출 증가의 주 요인은 보안관제 및 수출 확대입니다. XDR 솔루션, OT 보안, 클라우드 보안 수요에 선제 대응한 결과입니다. 다만, 고정비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률은 소폭 하락했습니다.


📊 2. 재무제표 기반 분석 인사이트

성장성

  • 매출 성장률
    • 8.9% (2023 → 2024), 5.0% (2022 → 2023) → 점진적 우상향
  • 수출 비중 증가
    • 3.3% → 8.4% → 해외 시장 공략 본격화
  • 비유동자산 급증
    • 1,768억 원 → 2,445억 원 → 투자 자산 확대

📌 인사이트: 공격적 기술투자 및 글로벌 진출 기반을 마련한 해. 관계기업 투자, 무형자산 확보가 비유동 자산 증가를 이끎.


수익성

항목 2024년 2023년 2022년
영업이익률 10.6% 11.0% 11.8%
순이익률 12.4% 14.5% 6.2%
ROE (자기자본이익률) 9.1% 12.2% 5.5%
 

📌 인사이트: 영업이익은 안정적이나 기타손실 증가 및 법인세 비용 증가로 순이익률 하락. ROE도 다소 낮아짐. 단, 연구개발 및 수출 기반 확장은 장기적으로 긍정적.


재무 안정성

항목 2024년 2023년 2022년
부채비율 26.0% 31.8% 33.0%
유동비율 254.5% 241.0% 324.5%
자기자본비율 79.3% 75.9% 75.1%
 

📌 인사이트: 낮은 부채비율과 높은 유동비율로 재무건전성 매우 양호. 유동성 위기 리스크 거의 없음.


현금흐름

항목 2024년 2023년 2022년
영업활동CF 313억 원 391억 원 335억 원
투자활동CF ▲586억 원 ▲327억 원 ▲219억 원
재무활동CF 487억 원 ▲101억 원 ▲101억 원
 

📌 인사이트:

  • 현금 및 현금성 자산 급증 (329억 → 545억 원): IPO 후 자금 유입
  • 투자활동 크게 확대: 무형자산 확보 + 관계기업 지분 확보

🔄 3. 전략적 방향성과 리스크 요인

📌 전략 요약

  • XDR 출시: ‘안랩 XDR 1.0’로 탐지·분석·대응 전주기 플랫폼 구축
  • OT/ICS 보안 강화: 산업 현장 보안 공략
  • 글로벌 진출 가속화: SITE와 합작법인, 수출 매출 급증
  • 클라우드 전환 선도: 컨테이너 기반 보안 기술 확보

⚠ 리스크 요인

  • 단일 고객군 의존 위험: 공공·금융 중심
  • 기술 고도화 지연 시 경쟁력 약화 가능성
  • 보안 사고 발생 시 브랜드 리스크 매우 큼

✍️ 4. 정리

재무구조 안정성과 기술 중심의 지속적 투자 전략, 해외 매출 확대, ESG 경영 실천까지, 모든 면에서 중장기적 경쟁력을 갖춘 기업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