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들어가며...
소규모 프로젝트를 포함하는 모든 프로젝트는 책임 추적 및 완료 추정을 위해 WBS 등 문서로 관리해야 한다.
직장에서 지원하는 협업 툴 활용 시 자체 지원 간트차트 등을 활용하여 구성할 수 있지만, 실제 해당 요소가 왜 필요한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직접 구성하여 터득할 필요를 체감했다.
일반적으로 우측 부분에 달력을 삽입하는 것과 달리 보다 적은 수정 및 관리 요소로 마감일을 기준으로 확인 유무를 넣게 되었다.
전체 설명
- 문서 번호(No.) : 작업 시 산출물(알고리즘 도식화, 문서 등)에 대한 식별 번호와 매칭할 수 있다.
- 작업 계획(Tasks) : 대/중/소 분류 체계로 구성하여 최대한 잘게 쪼개어 관리할수록 완료 추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 산출물 : 해당 작업 계획을 수행한 후 관련 작업 이력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 연구보고서 등에 활용할 수 있다.
- 담당자 : 해당 작업 계획을 책임지는 실제 담당자, 누구와 협업을 진행하면 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 우선순위 : 필자는 1(필수), 2(병행 시 가져감), 3(여유없으면 차후 수행)으로 구분한다.
- 작업일(Planned Schedule) : 해당 작업 계획에 대한 시작-마감 공수일, 담당자와 협의를 통해 산정한다.
- 사용일 : 해당 작업 계획이 완료된 일자 수, 연기될 경우 하이라이팅 등 표시하면 협업에 좋다.
- 확인 : 해당 작업 계획이 완료/미완료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문서 공유
프로젝트 관리에 정답은 없다.
프로젝트 관리에 상관없이 프로젝트 결과에 차이가 없을 수도 있다.
다만, 관리의 중요성을 느끼고 더 효율적으로 개선할수록 프로젝트 수행 능력에 차이가 생기는 것을 경험했으면 한다.
728x90
반응형
'Co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기획] 사업 운영에서의 IT기획 프로세스 (0) | 2024.08.02 |
---|---|
[PM, AARRR] 효과적인 제품 목표 달성 방안 (0) | 2024.07.09 |
[기업부설연구소] 실태조사 관련 Summary (0) | 2024.06.17 |
[R&R] RACI Chart, 프로젝트 책임 관리 도구 (0) | 2024.05.25 |
[IT 직무] R&R과 현재 수행 직무 정리 (0) | 2024.05.24 |
[CTO/CIO] C-Level이 알아야 할 것들... (0) | 2024.04.26 |
[Slack-Github] 깃허브 알림 연동 (0) | 2023.02.09 |
[MySQL] 테이블 명세서 생성 스크립트 (0) | 2022.05.19 |